본문 바로가기

Spring23

[Spring] MDC, 로그 트레이싱하기 오늘은 MDC(Mapped Diagnostic Context)에 대해서 공부한 내용을 기록하려고 한다. 공부하게 된 계기 갑자기 MDC에 대해서 공부하게 된 계기는요, 회사에서 업무를 하다 보니, 실제 개발하는 시간만큼 민원을 처리하는 날들이 많았다. 기존 코드를 이해하는 것보다는 민원을 처리해야 하는 일이 그 업무 프로세스를 완전히 이해해야 하고 있어야 하며 로그를 확인하고 원인을 파악하는 일이라 신입인 나에게 아직 낯선 작업들이었다. 민원을 처리하기 위해 로그 혹은 와탭(Whatap)을 확인 하는 경우가 있는데, 대부분 전문 기록을 확인해야 하는 경우가 많아 로그를 확인한다. 로그를 확인하는 과정을 간단하게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민원이 발생한 부분의 소스 코드를 찾아 어떤 전문을 사용하는지 찾기 메.. 2024. 4. 2.
ERD 설계 이후 개발하면서 반정규화 하기 ERD 설계 시, 최대한 정규화를 지키려고 노력하고 함께 많이 조회될 데이터라면 반정규화를 하는 편인 것 같다. 대부분 조인을 통해 계산을 해야 하는 경우, 칼럼을 하나 추가하여 미리 계산하고 데이터를 저장하고, 이후 해당 계산된 값을 조인 없이 조회하여 사용했다. 따라서 마이브러리 프로젝트 ERD를 설계 할때 아래 데이터는 반정규화 하여 ERD를 설계하고 코드를 작성하였다. holder_count : 해당 도서를 소장한 사람의 수 read_count : 해당 도서를 완독한 사람의 수 review_count : 해당 도서의 리뷰 수 등등 따라서, 조회를 할 때는 조인 없이 데이터를 조회할 수 있었지만 리뷰를 쓰거나, 소장/완독 처리 시에는 추가 로직을 작성했었다. 예를 들어, 아래 코드와 같이 하나의 도.. 2024. 3. 17.
Resilence4J 서킷 브레이커 개념 및 적용하기 작년 소프트웨어 마에스트로 14기에서 개발을 할 때, 내가 가장 많이 성장했던 시기라고 생각한다. 열정적인 동료(세무무 & 동구)와 쏘마의 지원 덕분이라고 생각이 든다. 그 중 클라우드 비용이 지원되었기 때문에 AWS의 여러 리소스를 학습하며 사용해보고, 기술적으로 MSA를 적용해면서 많이 배웠다. 현재는 그 전과 다른 기술을 바탕으로 일을 하고 있어, 이대로면 예전에 공부했던 내용을 다 잊어버릴까 시간이 날 때, 이전에 개발하고 공부했던 내용들을 기록하려고 한다. 먼저 MSA 환경에서 개발하면서, CircuitBreaker가 많이 신기하고 재밌게 개발한 기억이 있어, CircuitBreaker를 적용한 예시와 개념을 정리하려고 한다! 서킷브레이커 개념여러 서비스로 구성된 MSA 환경에서는 한 서비스에 .. 2024. 1. 23.
[Spring] MyBatis 사용법 및 동적 쿼리 정리 지금까지 토이 프로젝트에서는 JPA와 QueryDSL을 활용하여 개발했지만, 이번에 입사하게 된 첫 회사에서는 MyBatis를 주로 사용하고 있었다. 처음에는 JPA와 QueryDSL을 사용하지 않아 조금 아쉬웠지만, "로마에서는 로마법을 따르라"라는 말과 같이 새로운 환경에 맞춰 공부하고 적응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따라서 기본적인 MyBatis 사용법과 동적 쿼리 사용법을 기록하고자 한다. 1. MyBatis JdbcTemplate 보다 더 많은 기능 제공 SQL을 XML에 편리하게 작성하고 동적 쿼리를 매우 편하게 작성 가능 약간의 설정이 필요, Spring Boot를 사용하면 편하게 설정 가능 2. MyBatis 사용법 1) 마이바티스 매핑 XML을 호출해주는 Mapper Interface.. 2024. 1. 9.
[Spring] @Cacheable를 통해 성능 개선하기 (캐시) 이제 중간 발표도 끝났겠다, 다시 열심히 블로그를 작성하려고 한다. "마이브러리"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이슈도 많았고, 많은 것을 배우고 개발 중이었기 때문에 포스팅할 내용들이 너무 많다.. 다시 꾸준하게 블로그를 작성해봐야겠다.!! SWM에서 "마이브러리"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과정에 있어서 외부 API를 사용하여 도서의 정보를 가져오는 기능이 있었다. 매 사용자의 요청마다 외부 API를 호출하기 때문에 캐시를 적용하여, 외부 API 호출량도 줄이고 응답 속도도 줄일 것이라 기대하고 캐시를 도입하였다. 캐시를 도입한 이유 외부 API를 사용하기 때문에 외부 API 상태에 따라 응답 속도에 영향을 받는다. 길게는 2초 이상의 응답 속도가 걸린 적이 있다. 도서의 정보 데이터는 갱신이 자주 일어나지 않지만 .. 2023. 9. 4.
[Spring] @Async를 사용하여 비동기 처리 (+ 쓰기, 읽기 서비스 분리) SWM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비동기 처리를 통해서 효율적으로 요청을 처리하고, 많은 도서 데이터의 확보를 위한 고민을 하였습니다. 따라서 해당 포스트에서는 Spring @Async에 대해서 정리하고, 실제 적용한 부분에 대해서 설명하고자 한다. 비동기 처리가 필요한 이유 도서 상세 페이지 조회 시, 도서 정보가 도서 DB에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알라딘 API를 호출하여 도서 상세 페이지 응답을 처리한다. 이때, 비동기 처리를 통해 알라딘 API를 통해 조회된 데이터를 도서 DB에 저장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도서 DB에 도서 데이터를 저장하고, 도서 상세 페이지를 보여줄 경우, 도서 DB에 병목이 있을 경우 도서 상세 페이지를 사용자에게 띄어주는 것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비동기 처리를.. 2023. 8.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