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2 [Spring] 생성자 주입을 사용해야 하는 이유 Spring Framework는 @Autowired 애노테이션을 통해 다양한 의존성 주입을 제공한다. 생성자 주입필드 주입수정자 주입일반 메서드 주입우선 많은 개발자가 생성자 주입을 권장하고, 사용할 것이다. 하지만 우리 회사 코드에서는 필드 주입으로 되어 있는 코드들도 있다. 수정자 주입이나 일반 메서드 주입은 아예 없었던 것 같고, 생성자 주입과 필드 주입이 섞여있다. 필드 주입을 보면 생성자 주입으로 리펙터링을 하고 있고, 저뿐만 아니라 모든 팀원이 변경하고 있어 생성자 주입과 필드 주입이 공존하는 걸로 예상된다. 이전 개발자는 왜 필드 주입을 사용했을까?? 간결하기 때문인 것 같다. 실무에서는 한 객체가 여러 객체를 의존성 주입을 받는 경우가 있다.만약 의존성 주입을 받는 객체가 10개 이상이라고.. 2025. 1. 13. [Spring] 최근에 느낀 Spring 의 장점 (객체지향, DI) 1년 전 취업 준비를 했을 때를 돌이켜 보면, 스프링을 사용해 보면서 좋았던 점에 무엇인지에 대한 면접 질문을 많이 받았다. 그때마다 면접 족보?를 통해 달달 외웠던 내용을 잘 풀어서 얘기했던 것 같다. 사실 취준 때는 현재 많은 기업들이 스프링을 사용하기 때문에 취업 시장에서 유리했기 때문에 선택했던 이유가 가장 컸다. 그래서 사실 아래 내용을 100% 와닿으면서 스프링을 사용해 본 적은 없어 면접 대답도 술술 대답하지 못했던 적도 있다.스프링 부트의 장점 (톰캣 내장, 손쉬운 설정..)스프링 DI, AOP@Transactional ... 하지만 1년 정도 실무를 경험하고, 최근 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 편 강의를 다시 들으면서 왜 많은 기업에서 스프링을 선택하고, 스프링의 장점을 체감할 수 있었다... 2025. 1. 6. 이전 1 다음